
우리 주변의 모든 식품 포장지에는 ‘유통기한’ 또는 ‘소비기한’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두 용어를 혼동하여,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은 먹지 못하고 무조건 버려야 한다고 생각하곤 합니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고, 가정 경제에도 손실을 가져오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의 명확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식품별 안전한 섭취 기준과 올바른 보관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판매와 섭취, 기한의 명확한 구분
식품 포장지에 표기된 두 가지 기한, 유통기한(Sell-by date)과 소비기한(Use-by date)은 그 의미가 명확히 다릅니다.
유통기한은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법적 기한
으로, 품질이나 안전과는 무관하게 제조사나 유통업체 입장의 기한입니다. 반면,
소비기한은 소비자가 올바른 보관 방법을 지켰을 때 섭취해도 안전에 이상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섭취 가능 기한
을 뜻합니다.
2023년 1월 1일부터는 불필요한 음식물 폐기를 줄이고자 식품 표시 제도가 유통기한에서 소비기한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소비자들은 식품을 보다 현명하게 소비하고 환경 보호에도 동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두 기한의 의미를 정확히 알고 현명하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의 핵심 차이점
구분 | 유통기한 (Sell-by date) | 소비기한 (Use-by date) |
---|---|---|
의미 | 제품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 | 섭취해도 안전에 이상이 없는 기한 |
주체 | 제조·유통업체 | 소비자 |
목표 | 상품 회전율 관리 | 안전한 식품 소비, 음식물 낭비 감소 |
자신의 냉장고에 있는 식품들을 한번 살펴보세요.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을 무조건 버리지는 않았나요? 이제부터는 소비기한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습관을 들여보세요.
기한이 지난 식품, 언제까지 안전할까요?
식품의 종류와 보관 상태에 따라 유통기한이 지난 후에도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기간은 매우 다양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제공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올바른 보관을 전제로 한 주요 식품별 소비기한을 살펴보겠습니다.
주요 식품별 소비기한 (유통기한 경과 후)
- 우유: 유통기한 후 약 45일까지
- 치즈: 유통기한 후 약 70일까지
- 식빵: 유통기한 후 약 20일까지
- 냉동만두: 유통기한 후 약 1년까지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기준입니다. 식품의 상태가 변색되었거나 이상한 냄새가 나고 곰팡이가 피었다면 기한과 관계없이 즉시 폐기해야 안전합니다.
식품 안전의 핵심, 올바른 보관
식품의 소비기한을 최대한 활용하고 안전성을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보관 방법입니다. 잘못된 보관은 아무리 소비기한이 길더라도 식품을 상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식품별로 적절한 온도를 지키는 것이 기본입니다.
냉장 보관은 0~10°C, 냉동 보관은 -18°C 이하를 유지해야 합니다.
안전한 식품 보관을 위한 단계별 지침
- 온도 관리: 냉장 식품은 0~10°C, 냉동 식품은 -18°C 이하를 항상 유지하세요.
- 밀폐 보관: 식품을 개봉한 후에는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랩이나 밀폐 용기를 사용해 보관하세요.
- 습기 방지: 과자나 곡물류처럼 습기에 취약한 식품은 습기가 없는 서늘한 실온에 보관해야 합니다.
이러한 보관 기준을 준수해야만 소비기한까지 안전하게 식품을 즐길 수 있고, 음식물 낭비도 줄일 수 있습니다. 당신은 식품을 얼마나 올바르게 보관하고 있나요?
불필요한 낭비를 줄이는 현명한 소비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유통기한은 ‘판매 가능 기한’
이고
소비기한은 ‘섭취 가능 기한’
이라는 점을 명확히 기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올바른 보관 방법만 지킨다면 유통기한이 지났더라도 식품을 충분히 안전하게 소비할 수 있습니다.
식품을 버려야 한다고 성급하게 판단하기보다는, 표시된 기한과 더불어 식품의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작은 노력이 모여 불필요한 음식물 낭비를 줄이고 현명한 소비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식품 낭비 없는 현명한 소비,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자주 묻는 질문
- Q: 냉장보관 식품은 유통기한이 지나면 바로 버려야 하나요?
- A: 아니요. 포장 상태가 온전하고 올바르게 보관했다면 소비기한까지는 안전하게 섭취 가능합니다. 냉장 보관 식품은 유통기한이 지나도 며칠에서 몇 주까지 섭취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드시 육안으로 상태(변색, 곰팡이 등)를 확인하고 섭취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 Q: 소비기한이 없는 식품도 있나요?
- A: 네. 모든 식품에 소비기한이 표기되는 것은 아닙니다. 변질의 우려가 적은 일부 식품들은 소비기한 표기 의무가 면제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빙과류, 식염, 주류(13% 이상), 설탕, 껌 등이 있습니다.